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0만원' 소액 생계비 긴급대출, 640억원 추가!

by 유니미미 2023. 4. 21.

ㄱㄱㄱㄱ

 

금융위원회와 서민금융진흥원은 불법사금융 피해 방지를 위해 출시된 소액생계비대출이 3주간 3월 27일부터 4월 14일까지 총 15일간 15,739명의 금융 취약계층에게 평균 61만원, 최대 100만원의 소액생계비대출을 지원합니다. 대출 지원뿐 아니라 15,726건의 채무조정, 복지연계, 취업지원, 휴면 예금 찾기, 채무자대리인 연계 안내 등 복합상담도 함께 지원합니다.

 

ㄱㄱㄱㄱ

 

소액생계비대출 지원 대상

- 신용평점 하위 20%, KCB 기준 700점, NICE 기준 749점 이하이면서 연소득 3,500만원 이하

- 신용점수 확인방법은 아래에 바로가기를 클릭하시면 손쉽고 빠르게 조회가능하십니다.

 (지키미, 올크레딧, 토스)

 

ㄱㄱㄱㄱ

 

소액생계비대출 신청 방법

- 자격조회 > 센터 상담예약 > 상담 및 신청

- 자격조회와 센터 상담예약 매주 수요일부터 금요일 09:00에서 20:00까지 가능

 

ㄱㄱㄱㄱ

 

소액생계비대출 한도

- 1인당 최대 100만원(최초 이용시 최소 50만원, 6개월간 정상이용 시 추가 1회 가능)

 ※ 의료, 주거, 교육비 등 특정용도의 경우 최초이용 시 최대 100만원 한도 내 가능

 

ㄱㄱㄱㄱ

 

소액생계비대출 금리 및 상환방법

- 연 15.9% 단일금리로 연체 없이 성실상환 시 상환기간에 따라 금리 인하 최저 연 9.9%로 인하

- 서민금융진흥원 교육 이수시 0.5% 우대금리

※ 6개월마다 성실상환시 3.0% 인하, 추가시 연 12.9% 금리 적용

- 1년 만기일시상환(중도상환 수수료 없음)

※ 성실상환 시 최대 5년 이내 만기연장 가능

 

ㄱㄱㄱㄱ

 

사전예약 신청방법

- 온라인 예약 https://sloan.kinfa.or.kr/drt/step1

- 전화예약 : 1397 서민금융콜센터

 

서민금융진흥원 소액생계비 대출 바로가기

 

ㄱㄱㄱㄱ

 

필요서류

- 센터방문 대출상담 시 신분증, 대출금 수령용 본인명의 예금통장 사본(본인명의 예금통장 사용이 어려운 경우 자세한 구비서류는 센터 방문 전에 서민금융콜센터 1397에 확인 필요

 

ㄱㄱㄱ

 

소액생계비대출 지원 실적 및 향후 운영 방안

50만원을 대출받은 사람은 11,900명 병원비 등 자금용처 증빙을 통해 50만원 초과하여 대출받은 사람은 3,839명으로 1인당 평균 대출금액은 61만원 정도입니다. '최대 100만원' 긴급생계비 대출 신청자 56%가 30~40대이며, 상담자 83%가 취업 알선이나 복지 지원, 채무조정과 실질적으로 연계되었습니다. 따라서 단순 자금지원에 그치지 않고 채무조정, 복지연계, 취업지원, 휴먼예금 찾기, 불법사금융 피해 대응 등에 대한 복합상담을 통해 궁극적인 자활지원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ㄱㄱㄱㄱㄱ

 

금융권은 국민행복기금 초과회수금을 지급받지 않고 소액생계비대출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서민금융진흥원에 기부 의향을 표명하고 추가 확보된 재원으로 금년말까지 소액생계비대출을 차질없이 공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금년중 소액생계비대출은 은행권 기부금 500억원과 캠코, 기부금 500억원을 재원으로 1,000억원을 공급할 계획이 있으나 현재까지의 신청 현황을 감안할 때 기마련된 재원으로는 연말이 되기전 조기 소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전 금융권에서는 사회공헌의 일환으로 소액생계비대출 재원에 추가 기부 의향을 밝혔습니다. 이 기부금은 국민행복기금 초과회수금을 활용한 것입니다. 이밖에도 현재 기부를 긍정적으로 내부 검토중인 금융회사들이 의향을 확정할 경우 약 377억원의 추가적인 기부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추가적인 기부 의향 금융회사는 향후 발표될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은 금융권의 추가 기부금을 토대로 연말까지 소액생계비대출을 차질없이 지속 공급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아울러 내년에도 정책서민금융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재원을 확보해 나가도록 지속해서 노력해 나가겠다고 합니다.

 

ㄱㄱㄱㄱㄱ

 

 

반응형

댓글